본문 바로가기
기록해보자/공부기록(회계기초)

기초회계원리 챕터12 원가의 개념과 분류

by 천군낙원 2024. 1. 16.
반응형

본 정리글은 에듀윌의 김성수 세무사님의 기초회계원리의 강의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기초회계원리 챕터12 원가의 개념과 분류

 

원가의 개념과 분류

 

 원가재화나 용역을 얻기 위해서 희생된 경제적 자원을 화폐단위로 측정한 것을 말합니다.

 

 제조활동 관련성에 의한 원가의 분류로는 제조원가비제조원가가 있습니다. 제조원가(제품원가)제품을 제조하기 위하여 발생한 원가를 말하며, 비제조원가(기간비용)제조활동과 관련이 없는 원가를 말합니다.

 

발생형태 추적가능성 제조원가
재료비  
직접비(추적가능한 원가)
직접재료비(Direct Material)
 
노무비
 
직접노무비(Direct Laber)
 
간접비(추적불가한 원가)
경비 제조간접비(OverHead cost)

 

 발생형태에 따라 추적가능성 여부가 나뉘는데 노무비의 경우 직접비정해진 제품을 생산하는 작업자의 인건비, 간접비정해지지 않은 제품을 매일매일 이것저것 작업하는 아르바이트생 같은 사람의 인건비로 나뉠 수 있습니다.

 

 

제조원가와 판매비와 관리비 구분

 

 제조원가판매관리비(기간원가)의 구분을 아래의 표와 같이 나눌 수 있습니다.

 

제조원가 판관비(기간원가)
공장에서 발생한 원가 공장 외(본사 혹은 사무실)에서 발생한 원가
생산직 관리자의 급여
공장의 동력비, 전력비
기계의 수선비
공장의 재산세 및 관리비
공장 소모품비
판매부서 직원의 급여
사무실의 동력비, 전력비
본사 건물의 관리비
사무실의 사무용품비

 

 

원가구성도

    판매이익  
 
판매가격
판매비와 관리비  
판매원가
직접재료비  
제조원가
직접노무비
제조간접비

 

예시 스마트폰 제조기업 기준 : 예시 건설기업 기준 :
제조원가 = 직접재료비(부품구매비) + 직접노무비(인건비) + 제조간접비
 
판매원가 = 제조원가 + 판매비와 관리비(주로 홍보비용)
 
판매가격 = 판매원가 + 판매이익

제조원가 = 직접재료비(철근, 콘그리트 등 건설에 필요한 재료들) + 직접노무비(인건비) + 제조간접비(공사차량 대여, 편의시설 제공 등, 기타 관리자들의 인건비 등)
 
판매원가 = 제조원가 + 판매비와 관리비(주로 홍보비용)
 
판매가격(분양가격) = 판매원가(분양원가) + 판매이익

 

 원가 절감 방법직접재료비와 직접노무비 등을 절감하는 것이 가장 쉽게 절감할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한 예시로 2023년에 문제가 되었던 건설업계 철근 누락이 이에 해당될 수 있겠네요. 안전문제나 소비자 피해는 둘째치고 일단 기업기준에서는 절감에 해당되기 때문입니다.

 

 좋은 제품판관비보다 제조원가가 많이 투입된 것이 좋습니다. 위의 직접재료비와 직접노무비를 절감하지 않고 비용을 들이면 당연히 충분한 양의 재료와 인력 투입으로 양질의, 불량률이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직접비(=기초원가 = 기본원가) = 직접재료비 + 직접노무비

가공비(=전환원가) = 직접노무비 + 제조간접비

* DL Direct Labor Cost로 직접노무비의 줄임말, OHOverHead Cost로 제조간접비의 줄임말, DMDIRECT Material Cost로 직접재료비의 줄임말 입니다.  

 

 

원가행태에 따른 분류

 

 조업도 수준이 변화에 따라 원가발생액의 변동하는 모습에 따라 원가행태를 분류할 수 있습니다. 4가지변동비, 고정비, 준변동비, 준고정비가 있습니다. 각각에 대한 것을 그래프와 함께 정리하면 이렇습니다.

 

* 조업도, 생산능력의 최대치를 기준으로 실제로 얼마나 생산되는지에 대한 생산량입니다. 100(100%)를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데 실제로 70(70%)만 생산하고 있으면 조업도는 70(70%)이 되는 것입니다.

 

변동비

조업도의 증감에 따라 원가 총액은 증감하나, 단위당 원가는 조업도의 변동에 관계없이 일정한 형태의 원가를 말합니다.








총변동비 기준의 그래프로 X축은 조업도 (생산량), Y축은 총원가로 총변동비는 총원가= 단위당 변동 x 조업도(Y=aX)입니다. 단위당 변동비 기준의 그래프로 X축은 조업도 Y축은 단위당 원가이며 Y = 총원가/총수량 = Y’=aX/X = Y’=a

 

고정비

 조업도의 변동과 무관하게 원가 총액은 일정하나 단위당 원가는 조업도의 증감에 반비례하는 형태의 원가를 말합니다. 예시로 건물 임대료, 직원 인건비 등. 월 매출과 무관하게 발생하는 임대료가 해당됩니다.

 
 
X축은 조업도(생산량) Y축은 총고정비인데 고정비는 조업도와 무관하므로 Y=b(고정비) 입니다. X축은 조업도 Y축은 단위당 원가이며 Y = 총원가/총수량이며 총수량이 많을수록 단위당 원가가 낮아집니다. Y’=b/X

 

 

준변동비(혼합원가=변동비+고정비)

 조업도의 변화에 관계없이 총원가가 일정한 고정비와 변동비의 두 부분으로 구성된 원가를 말합니다.

 

 
 X축은 조업도, Y축은 총원가로 조업도와 총원가의 포인트가 정해진후 보면, 조업도가 0일때도 발생하는 총원가가 있는데 이는 고정비이며, 그 외 나머지 금액은 변동비에 해당됨. Y=aX+b
 

 대표적인 예시로 택시 요금이 있습니다. 승차시 기본요금이 있고 여기서 일정거리를 주행하면 이에 따른 사용요금이 추가로 증가하는 모습이 준변동비와 같습니다.

 

 

준고정비(계단원가)

 특정 범위의 조업도 내에서는 총원가가 일정하지만 조업도가 특정 범위를 벗어나면 일정액 만큼 증가 또는 감소하는 원가를 말합니다. 변화하는 모습이 계단처럼 바뀌어서 계단 원가라고도 합니다. 변동비, 고정비, 준고정비 등을 볼 때 제대로 된 구간 설정이 없으면 개인이 보는 관점에 따라 준고정비도 크게 보면 변동비처럼 보일 수도 있습니다.

 

 

 

 

정리글이 계획보다 늦었는데 기록해둔 자료가 깨져서 다시 찾아보고 정리한다고 늦어졌네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