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록해보자/공부기록(회계기초)

기초회계원리 챕터 11 재고자산 단가결정방법

by 천군낙원 2023. 12. 31.
반응형

이전에도 말하였지만 본 정리글은 에듀윌의 김성수 세무사님의 기초회계원리의 강의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기초회계원리 챕터 11 재고자산 단가결정방법

 

 

 

 개별법 이란 실제 매출이 발생할 때 실제 구입원가를 기록하였다가 매출원가로 대응시키는 방법입니다. 원가흐름과 실제 물량흐름이 일치하기 때문에 가장 정확한 원가계산 방법이며, 가장 수익 비용 대응 원칙에 적합합니다.

 

 하지만, 모든 물류흐름을 추적을 하기에 수량이 많은 등의 일반 제품을 개별적 관리의 어려움 등으로 실제로 적용이 어렵습니다. 그렇기에 개별법을 적용한다고 하면 소수 고가의 제품 보석과 같은 제품에 적용이 가능합니다.

 

 

 선입선출법(FIFO)먼저 들어온(매입한) 상품이 먼저 나간다(판매된다)는 가정하에 원가계산하는 방법이며, 현실에서 가장 많이 쓰는 방법으로서, 실제 회사의 물량흐름과 유사합니다.

 

 

 평균법(가중평균법)재고자산의 단가를 산정할 때 일정기간 동안 재고자산 구입단가의 평균으로 구하는 방법이며, 단가를 계산할 때 간단하게 평균단가를 구해 활용하는 방법으로 기초재고와 당기매입을 동일하게 취급합니다.

 

 

 후입선출법(LIFO)은 선입선출과 반대로 나중에 구입한 상품을 먼저 판다고 가정하는 방법이며, 후입선출법은 일반기업회계기준에서는 인정하나,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서는 인정하지 않고 있습니다.

 

* 일반적으로 물류쪽에서는 선입선출과 평균법을 사용합니다.

 

 

위 각종 단가결정방법을 예시로 비교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상품
기초
110
매출원가
2
매입
112,   114
기말
1

 

선입선출법(FIFO) 평균법(가중평균법) 후입선출법(LIFO)
매출원가
1x 10,   1x 12
= 10 + 12 = 22
매출원가
2x 12
= 24
매출원가
1x 14,   1x 12
= 14 + 12 = 26
기말
1x 14 = 14
기말
1x 12 = 12
기말
1x 11 = 11

 

 

 

선입선출과 후입선출법의 장단점(둘은 상대적 관계)

 

 선입선출과 후입선출법을 표로 정리하여 장단점을 비교해봅시다.

선입선출법(FIFO)   후입선출법(LIFO)
(+) (-) (+) (-)
상품 상품
1/1(기초) : 매출원가 :
1/1(기초) : 매출원가 :
매입 :
 
매입 :
 
 
12/31(기말) :   12/31(기말) :
매출원가는 OLD, 기말재고 NEW   매출원가는 NEW, 기말재고 OLD
장점 : 실제물량흐름에 유사함.
단점 : 물가상승시 법인세가 과대해지고 수익,비용 대응원칙에 위배.
 
  장점 : 수익, 비용대응이 잘되며 물가상승시 법인세 과소해짐
단점 : 현실적용이 어려우며 K-IFRS(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서 인정하지 않음, 단 일반기업회계기준에서는 인정함.

 

 

 

재고자산평가방법과 인플레이션 관계

 

 재고자산 평가시, 물가의 변동에 따라 금액 계산 결과가 다르게 나옵니다.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물가가 상승하게 되면 아래와 같이 기조재고와 기말재고에 대한 재고자산평가 금액이 달라집니다.

 

만약 물가상승시, 기초<기말

기말재고자산  : 선입선출법>이동평균법>총평균법>후입선출법

매출원가          : 선입선출법<이동평균법<총평균법<후입선출법

순이익             : 선입선출법>이동평균법>총평균법>후입선출법

법인세             : 선입선출법>이동평균법>총평균법>후입선출법

 

         *  이동평균법물건을 구매할 때마다 기존 재고와 새로들어온 재고의 금액을 더한 뒤에 총 갯수로 나누어 단가를 산정하는 방법입니다. 본 강의 영사에서는 안 배우고 평균법의 한 방법으로만 소개하고 있습니다.

         *  총평균법물건을 모두 구매하고 매입한 금액 전체를 더하고선 이를 총 갯수로 나누어 단가를 산정하는 방법 입니다. 본 강의 영사에서는 안 배우고 평균법의 한 방법으로만 소개하고 있습니다.

         * 물가하락시에는 이와 반대로 적용합니다.

 

 기초와 당기매입이 고정 상태에서는 기말재고 과대 -> 매출원가 과소, 순이익 과대, 법인세 과대가 됩니다.

 기초와 당기매입이 고정 상태에서는 기말재고 과소 -> 매출원가 과대, 순이익 과소, 법인세 과소가 됩니다.

 

 

 

재고자산 평가방법에 대해 예시문제를 하나 정리하고 마무리 하겠습니다.

 

Q : 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상황에서 재고자산 수량이 유지되고 있다면 매출원가가 가장 작게 나타나는 재고자산 평가방법?

 

 : 물가하락은 디플레이션으로 인플레이션 기준의 선입선출법>이동평균법>총평균법>후입선출법과 반대로 생각하면 되므로 후입선출법이 제일 좋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