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록해보자/공부기록(회계기초)

(기초회계원리 공부 정리) 6. 주요 거래의 분개, 거래의 종류, 전기와 회계장부

by 천군낙원 2023. 9. 25.
반응형

기초회계원리 챕터6 주요 거래의 분개, 거래의 종류, 전기와 회계장부

 

혹시나 영상을 보면서 영상 정리내용을 보려고 오시는 분들이 있을까봐 말씀드립니다. 이전 정리본은 실제 강의 기준 7강과 8강의 내용을 합친 내용 정리입니다. 그렇기에 이번 정리본은 강의 영상과 비교하면 실제로는 챕터6 = 8강 입니다. 참고해주세요.

 

 

주요거래의 분개 TIP(이전 내용 이어서)

 

 계약거래 상품을 사고팔고 하기 전에 계약금이 매출자(채권자)와 매입자(채무자) 간에 오가는 것을 말합니다.

예시를 들어보면 : 

 서울상사에 500,000원의 상품을 매입하고 계약금 50,000원을 제외한 나머지 450,000원은 외상으로 한다.

     → 차변은 상품 500,000원입니다.

     → 대변은 선급금 50,000, 외상매입금 450,000원입니다.

 

 설명 : 매입자(채무자)인 나는 매출자(채권자)인 서울상사로부터 500,000원치의 상품를 사고 나는 선급금으로 500,000(계약금50,000 + 외상 450,000)을 매출자(채권자)에게 지불하기로 한 것이다.

 

 

거래의 종류

 

 거래의 종류는 3가지가 있는데 각각 교환거래, 손익거래, 혼합거래로 부릅니다.

 

   교환거래는 당기손익 영향이 없고 자산, 부채, 자본의 조합으로 거래되는 것을 말합니다.

   손익거래는 교환거래와 달리 당기손익 영향이 있고 비용 혹은 수익이 발생합니다.

   혼합거래교환거래와 손익거래를 혼합 형태입니다.

 

 예시로 각각 정리해보면 이렇습니다.

교환거래 :

 은행으로부터 6개월 후 상환하기로 하고 현금 50,000원을 차입하였다.

     → 차변은 현금 50,000(자산증가)

     → 대변은 단기차입금 50,000(부채증가)

손익거래 :

 주식에 대한 배당금 50,000원을 현금으로 수령했다.

     → 차변은 현금 50,000(자산증가)

     → 대변은 배당금수익 50,000(수익 증가)

혼합거래 :

 단기차입금 50,000원과 이자비용 5,000원을 현금으로 지급했다.

     → 차변은 단기차입금 50,000, 이자비용 5,000

     → 대변은 현금 50,000, 현금 5,000

* 진한 부분은 교환거래, 줄친 부분은 비용발생으로 손익거래입니다.

 

 

회계장부

 

 회계장부기업이 활동하면서 발생하는 회계 상의 모든 거래를 기록하고 정리한 자료입니다. 재무제표와 같은 것으로 착각하는데 재무제표와 다른 것이죠. 회계장부를 기반으로 작성되는 것이 재무제표입니다. 또한 회계장부는 기업 내부에서 사용하는 자료이고 재무제표는 외부 공시표로 회계장부를 통해 완성된 값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경우에 따라 재무제표의 금액과 회계장부와의 금액이 다를 수 있는데 이에 대비해 회계장부는 5년간 비치해야 합니다.

 

 

주요장부와 보조장부

 

 회계장부는 크게 주요장부(주요부)보조장부(보조부) 2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주요장부(주요부)에는 분개장총계정원장이 있습니다.

 

 분개장은 저번에 정리했듯이 회계상 거래가 발생하면 각 전표에 기록된 분개들을 발생한 순서대로 기입하는 장부입니다.

총계정원장(전기,원장)은 결산서 작성의 기초가 되는 장부로 분개장에 분개를 하고서 이를 회사에서 사용하고 있는 해당계정과목으로 기록하는 것입니다. 여기까지 보면 분개장과 큰 차이가 없어서 구분이 안될 겁니다. 만약 장부에 전기(전년도) 이월 금액이 있으면 총계정원장으로 보면 됩니다.

 

보조장부(보조부)보조기입장, 보조원장, 기타보조부가 있습니다.

 

 보조라는 말이 쓰여 있듯이 주요부에서 부족한 내용이나 상세한 내용을 알 수 있게 설명해주는 장부로 볼 수 있습니다.

 

 보조기입장에는 현금출납장, 당좌예금출납장, 매입매출장, 받을어음기입장, 지급어음기입장 등이 있고, 보조원장에는 상품재고장, 매입처원장, 매출처원장 등이 있습니다. 그 외 보조장부는 기타보조부가 되겠습니다.

반응형